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머선 129
- 장례문화
- 플러팅 뜻
- 희연사 뜻
- MZ세대 신조어
- 타이레놀연령별
- 플러팅
- 미드 프렌즈
- mz용어
- 머선129
- 타이레놀복용
- 연애프로그램
- 서타일
- 무물보
- 산모 미역국
- 희얼사뜻
- 플러팅의미
- 알긴산
- 차스닥
- 희얼사
- 증권 증시
- 타이레놀부작용
- 옛풍속
- 어린이 타이레놀
- 나스닥의 닥
- 타이레놀효능
- 출산후 미역국
- 젊은사람들
- 임산부 장례식장 주의사항
- 금융상식
- Today
- Total
목록재테크상식 (5)
지식에관한모든것총집합

코스닥, 나스닥, 자스닥, 닥 (DAQ)의 유래 오늘은 일반적으로 불리는 경제용어지만 그래도 유래를 알아보면 좋을것 같다. 일반적으로 한국을 비롯해 미국•일본 중국의 중소형 기술주가 주로 거래되는 신흥 증권 시장의 이름은 각각 코스(KOSDAQ), 나스닥(NASDAQ), 자스닥(JASDAQ) 그리고 차스닥(CHASDAQ)이라 불린다.여기서 모두 공통적으로 '닥(DAQ)'이 붙어 있는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미국의 나스닥을 본떠서 후발주자 나라들이 한국의 나스닥, 일본의 나스닥, 중국의 나스닥등을 표방하며 만들었기 때문이다.여기서 궁금해 진다. 나스닥 '닥(DAQ)은 어디서 나온 말일까? 이는 미국의 장외주식시장인 나스닥(NASDAQ)의 명칭은 독특한 주식거래 시스템 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미국..
헤지(Hedge) 환율,금리 또는 주가지수의 변동에서 오는 가격변동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생하는 거래이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외국에 상품을 팔고 수출대금을 3개월 뒤에 받기로 했다고 하면 3개월 후의 환율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수출대금의 가치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이 기업은 환율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하는데, 이러한 환율변동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행하는 거래를 헤징이라고 한다. 이때 기업은 미래의 환율을 미리 고정시키는 선물환거래를 행함으로써 환율변동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선물환거래는 대표적인 헤징의 예다. 즉 헤지는 투자자가 자신의 이익을 가격변동위험으로 부터 보호하고자 이미 보유하고 있거나 보유예정인 현물포지션에 대하여 동일한 수량의 반대포지션을 선물,옵션시장에서 행하는 ..
재형저축 가입할때 주의할 점은 없나요? 재형저축은 장점이 많은 상품이지만 단점도 물론 있습니다. 고금리 상품이긴 하지만 3년 이내 중도해지 시 최소한의 금리만 제공합니다. 3년 이상 가입하더라도 중도해지를 하게 되면 우대금리를 제외한 기본금리만 제공받을 수 있는 점도 단점입니다. 보통 우대금리 수준이 0.5%가량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일반 예적금금리 수준의 금리 혜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재형저축의 만기 기간은 최소 7년입니다. 가입 기간이 7년 이상인 경우에만 이자소득세 면제 혜택이 주어지므로 중도에 해지하게 되면 세제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합니다. 문제는 또 있습니다. 현재 시중에 출시된 재형저축 상품을 살펴보면 4%정도의 기본금리에 0.1~0.5%정도의 우대금리를 적용하..
금리인하 요구권을 아시나요? 대출금리는 이미 정해진 것이라 바꿀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낮춰달라고 당당히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권리를 금리인하 요구권이라고 합니다. 금리인하 요구권이란 대출받은 사람의 신용등급이나 상황이 눈에 띄게 좋아졌을 경우에 은행에 대출받은 금리를 낮춰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금리인하 요구권은 은행여신거래 기본약관에도 명시되어 있는 당당히 행사할 수 있는 권리로서 취업,대출상환,소득증가,신용등급 개선 등 처음 대출을 받을 때보다 신용 상태가 현저하게 좋아졌을 때 은행에 합리적인 근거로써 증빙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하면 금리인하 요구권을 1년 최대 2회 사용하여 이자를 깎아달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금리인하 요구가 받..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의 차이-통장재테크의 핵심중의 핵심 예적금 통장 이자율도 이름에 따라 달라지나요? 혹시 같은 이자율이라도 용어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가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신가요? 만약 이 질문에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없다면 앞으로는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여러분이 재테크에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은행이나 금융기관에 돈을 맡기면 그 대가로 이자를 받습니다. 그리고 이때 받는 이자의 비율을 이자율 혹은 금리라고 표현합니다. 반대로 은행이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리면 대가를 내야 하는데,이 또한 이자라고 하며, 이 비율은 이자율 또는 대출금리라고 표현합니다. 흥미로운 점은 같은 이자율이라고 하더라도 어떤 이름을 붙이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전혀 다를..